본문 바로가기
정보 끄적끄적/잡다한 정보

초간단 인터넷 양도소득세 신고 방법 비과세 조건

by 또니닝 2025. 9. 9.
반응형

양도소득세 신고 방법
양도소득세 신고 방법

 

집을 팔거나, 땅을 팔거나, 혹은 주식 같은 자산을 팔면

‘양도소득세’라는 세금을 내야 한다는 말, 많이 들어보셨죠?

 

하지만 정확히 어떻게 내야 하는지 헷갈릴 때가 많습니다.

오늘은 양도소득세 신고 방법을 쉽게 정리해 드리겠습니다.

 


 

 양도소득세 신고방법

 

1. 양도소득세란?

 

양도소득세는 말 그대로 재산을 팔아서 얻은 이익(소득)에 매기는 세금입니다.

  • 부동산(아파트, 주택, 토지 등)
  • 주식, 채권 같은 금융자산
  • 분양권, 입주권

이런 것들을 팔아서 산 가격보다 높은 값에 팔았다면, 차익에 대해 세금을 내야 하는 거죠.

 

양도소득세 신고 기한은 양도일이 속한 달의 말일로부터 2개월 이내입니다.

양도소득세 신고 기한이 지나면 가산세가 부과되니,

양도일이 속한 달의 말일로부터 2개월 이내에 꼭 신고하시기 바랍니다.

 

 

 

2. 양도소득세 신고 방법

 

hometax.go.kr/websquare/websquare.html?w2xPath=/ui/pp/index_pp.xml&tmIdx=41&tm2lIdx=4104000000&tm3lIdx=4104010000

 

국세청 홈택스

 

hometax.go.kr

 

양도소득세는 국세청 홈택스에서 할 수 있습니다.

 

위의 사이트 링크로 들어가셔서, 예정신고-1개 부동산 양도 간편 신고를 누르시면 됩니다.

 

 

다음으로 창이 뜨면, 간편 신고서를 눌러주세요.

 

양도연월, 전화번호 같은 기본 정보를 입력하고,

신고대상 부동산 확인하기를 누르시면

신고할 부동산이 뜹니다.

 

 

양수인 목록을 선택하고,

다음으로 넘어가시면 됩니다.

 

 

과세구분만 선택해 주시면

대부분의 정보는 자동으로 입력되어 있을 거예요.

 

참고로, 비과세 조건은 아래와 같아요.

✅ 1세대 1 주택 비과세 조건
1. 1세대가 주택 1채만 보유할 것
세대(부모·배우자·자녀 포함)가 집을 하나만 가지고 있어야 합니다.
만약 2 주택 이상이면 비과세가 원칙적으로 불가능합니다.

2. 보유 기간 요건
2년 이상 보유해야 합니다.
단, 조정대상지역(투기과열지구 등)에서는 실거주 2년 이상 조건이 추가됩니다.

3. 양도가액 요건
주택을 판 가격이 9억 원 이하라면 전액 비과세입니다.
9억 원을 초과하면 초과분에 대해서만 과세됩니다.

✅ 추가 비과세 사례
1. 일시적 2 주택: 기존 집을 팔기 전 새 집을 산 경우, 일정 기간 안에 기존 주택을 팔면 비과세 적용 가능
2. 상속 주택: 상속으로 여러 채를 보유하게 된 경우에도 일정 조건 충족 시 비과세 가능
3. 농어촌 주택: 도시 주택 외에 농어촌 주택을 보유한 경우에도 특별 비과세 혜택 가능

 

 

보유기간, 거주기간

양도가액, 필요경비 등을 입력하고 제출하면 끝입니다!

 

추가로, 개인지방소득세 신고도 따로 하시면 됩니다.

 

 


 

오늘은 양도소득세 신고 방법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많은 분들께 도움이 되셨길 바라며 글을 마치겠습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