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정보 끄적끄적/과학 정보

개구리가 겨울잠을 자는 기간, 장소, 까닭

by 또니닝 2025. 8. 5.
반응형

개구리의 겨울잠
개구리의 겨울잠

 

춥고 눈이 많이 오는 겨울,

우리는 따뜻한 옷을 입고 집에서 난방을 켜며 지내죠.

 

그런데 들이나 논, 산속에 사는

개구리는 겨울을 어떻게 보낼까요?

바로 겨울잠을 자며 겨울을 견딘답니다!


오늘은 개구리가 왜 겨울잠을 자는지,

어디서 자는지, 얼마나 자는지 등

개구리의 겨울잠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아요!

 


 

 개구리의 겨울잠

 

개구리의 겨울잠
개구리의 겨울잠

 

1. 겨울잠을 자는 기간

 

개구리는 겨울에 자서 봄에 깨어납니다.

 

보통 가을에서 겨울 사이,

날씨가 점점 추워질 때쯤 겨울잠을 자기 시작해요.


10월~11월경에 잠이 들고, 날씨가 따뜻해지는 3월~4월경에 깨어나지요.
그러니까 약 4~6개월 정도를 잠을 자며 지내는 셈이에요!

 

 

 

2. 겨울잠을 자는 장소

 

개구리는 따뜻하고 얼지 않는 곳을 찾아 겨울잠을 자요.


대표적인 겨울잠 장소는 다음과 같아요.

  • 땅 속
  • 낙엽 밑
  • 논이나 연못 바닥의 진흙 속
  • 산속 흙이나 바위틈
  • 나무뿌리 근처의 흙 속

이런 곳은 바람이 잘 통하지 않고,

기온이 너무 낮아지지 않기 때문에

몸이 얼지 않고 살아남을 수 있는 조건이에요.

 

 

 

 

3. 겨울잠을 자는 까닭

 

개구리가 사는 곳의 온도가 낮아지기 때문입니다.

 

개구리는 변온동물이에요.
즉, 몸의 온도가 주변 온도에 따라 바뀌는 동물이란 뜻이에요.


날씨가 추워지면 몸도 차가워지고, 그만큼 움직이기도 어려워지며 먹이 활동도 힘들어져요.

그래서 먹이를 구하기 어렵고 체온 유지가 힘든 겨울 동안은 몸의 활동을 멈추고 잠을 자며 에너지를 아끼는 거예요.
마치 스마트폰을 절전모드로 바꿔서 배터리를 아끼는 것과 비슷해요!

 

 

 

 

4. 어떤 환경에 적응하기 위한 걸까?

 

개구리가 환경의 온도 변화에 적응한 결과입니다.

 

개구리의 겨울잠은 기온이 낮고 먹이가 부족한 겨울 환경살아남기 위한 적응이에요.

  • 온도가 낮은 환경 → 활동을 멈추고 체온을 낮춰 에너지 소모 줄이기
  • 먹이가 부족한 환경 → 먹이 활동을 중단하고 지방을 사용하며 버티기

즉, 겨울철 추위와 굶주림에 적응하기 위해 진화한 생존 전략인 거죠.

 

 


 

개구리는 작고 연약해 보이지만,

이런 겨울잠이라는 특별한 방법으로

자연 속에서 살아남는 놀라운 생명체예요.

 

제 글이 많은 도움이 되셨길 바라며

글을 마치겠습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