물에는 여러 동물들이 살고 있습니다.
강이나 호수, 갯벌, 바다에는 각기 다른 생김새와 생활 방식을 가진
여러 동물들이 살고 있어요.
오늘은 물에 사는 동물의 특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물에 사는 동물의 특징
1. 강이나 호수
1) 개구리
생김새
개구리는 다양한 색상과 패턴의 피부를 가지고 있으며,
길고 강한 뒷다리로 뛰어다닐 수 있어요.
생활방식
개구리는 주로 물가에 살며 땅과 물을 오갑니다.
발에는 물갈퀴가 있어 헤엄을 잘 쳐요.
또한, 곤충이나 작은 동물들을 잡아먹습니다.
개구리는 물속에서 알을 낳고,
알은 올챙이를 거쳐 개구리로 변해요.
2) 청둥오리
생김새
수컷 청둥오리는 화려한 녹색 머리와 갈색 가슴을 가지고 있으며,
암컷은 갈색과 회색이 섞인 색깔입니다.
얼굴에는 부리가 있고, 발에는 물갈퀴가 있어요.
생활방식
청둥오리는 물갈퀴가 달린 발로
물 위에서 헤엄치며 먹이를 찾고,
주로 식물의 씨앗이나 수초, 작은 곤충을 먹어요.
사회적인 동물로, 무리를 지어 생활합니다.
3) 수달
생김새
수달은 긴 몸체와 짧은 다리, 부드러운 털을 가지고 있어요.
물과 땅을 오가며 생활하며
물속에서 홛롱하기 위해 발가락 사이에 물갈퀴가 있습니다.
생활방식
주로 물고기, 갑각류 등을 잡아먹으며,
가족 단위로 생활하는 경우가 많아요.
물이 들어가지 않도록 콧구멍을 닫을 수도 있습니다.
4) 다슬기
생김새
다슬기는 작고 둥글며, 나선형의 껍질에 감겨 있어요.
껍질은 일반적으로 갈색 또는 녹색이며,
표면은 매끄럽거나 약간 거칠 수 있습니다.
두 쌍의 촉각을 가지고 있어요.
생활방식
물속의 식물이나 바닥에 있는 유기물을 섭취하며,
필터를 통해 먹이를 걸러내요.
주로 야행성이며, 낮에는 숨어 있다가
밤에 활동적으로 먹이를 찾아요.
또한, 물속에서는 기어서 이동해요.
5) 붕어
생김새
붕어는 길고 납작하며, 색깔이 다양합니다.
여러 개의 지느러미를 가지고 있으며,
등지느러미는 길고, 배지느러미는 짧고 넓어요.
생활방식
붕어는 잡식성으로, 작은 갑각류, 곤충의 유충, 플랑크톤 등을 먹어요.
무리를 지어 다니는 경향이 있으며,
수온이 낮거나 물이 맑을 때 더욱 활발하게 움직여요.
2. 바다나 갯벌
1) 꽃게
생김새
꽃게는 10개의 다리를 가지고 있어요.
그중 두 쌍은 집게발입니다.
눈은 크고 뾰족하게 튀어나와 있으며,
360도 시야를 확보할 수 있어요.
생활방식
꽃게는 둥글고 넓적한 뒷다리로 헤엄을 치며,
집게발로 사냥을 해요.
조개, 갑각류, 작은 물고기, 해조류 등을 먹고,
야행성이라 밤에 더 활발하게 활동해요.
2) 갈매기
생김새
갈매기는 날개가 넓고 길며,
부리는 길고 날카로워서 먹이를 잡는 데 유리해요.
발에는 물갈퀴가 있습니다.
생활방식
갈매기는 무리를 지어 생활하며,
하늘을 날 수도 있고, 먹이를 찾기 위해 물속으로 다이빙하기도 합니다.
물갈퀴를 이용해 수영도 잘해요.
물고기, 조개 등을 먹습니다.
3) 바지락
생김새
바지락은 납작하고 둥글며, 두 개의 조개껍질로 이루어져 있어요.
껍질을 열면 내부는 부드럽습니다.
생활방식
바지락은 주로 바닥에 묻혀 살며, 기어서 이동합니다.
플랑크톤, 유기물 등을 걸러 먹으며,
외부의 위협이 있을 때는 빠르게 모래 속으로 숨어요.
4) 홍합
생김새
홍합은 길고 타원형의 두 개의 조개껍질로 이루어져 있으며,
내부에는 심장과 강한 근육이 있어
껍질을 열고 닫는 역할을 해요.
생활방식
바위에 단단히 붙어 있으며,
외부 위협이 있으면 껍질을 빠르게 닫습니다.
5) 가오리
생김새
가오리는 납작하고 넓은 몸체를 가지고 있으며,
지느러미가 날개처럼 펼쳐져 있어요.
생활방식
가오리는 지느러미로 헤엄을 치며,
바닥에서 주로 생활합니다.
작은 물고기, 조개 등을 먹습니다.
강과 호수, 바다와 갯벌에 사는 동물들은
각자의 생태계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며,
우리 자연을 더욱 풍요롭게 만들어 줘요.
제 포스팅이 많은 도움이 되셨길 바라며
글을 마치겠습니다.

'정보 끄적끄적 > 과학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우리 주변에서 일어나는 물의 상태 변화 상황 10가지 알아보기 (0) | 2025.03.26 |
---|---|
들과 산에서 사는 동물의 생김새와 생활 방식(사는 곳, 이동 방법) (0) | 2025.03.25 |
계절별 대표적인 별자리 종류 (봄, 여름, 가을, 겨울) (0) | 2025.03.21 |
일상생활에서 단열을 이용하는 예 10가지 (열의 이동이 느린 물질) (0) | 2025.03.12 |
일상생활 속에서 자석을 이용하는 예 10가지, 생활용품 아이디어 (0) | 2025.02.28 |